2024. 5. 17. 00:44ㆍ일반 글
서론
태양이 뜨거워지고 있다. 공원에 나가보니 분수대에서 물줄기가 쏟아져 나온다. 여름이 다가온다! 여름의 따가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시점, 썬크림에 대해 알아보자.
썬크림 언제부터 썼을까?
최초의 상업적 썬크림은 1946년 스위스 화학자 프란츠 그라이터(Franz Greiter)가 발명했다. Glacier Cream으로 알려진 최초의 현대적 자외선 차단제로 자신이 올랐던 산의 이름을 따서 브랜드 이름을 Piz Buin으로 명명했다. 이 브랜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썬크림 종류
-스틱형 썬크림
장점: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깔끔하다. 원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바를 수 있다.
단점: 넓은 부위에는 바르기 어렵고, 꼼꼼히 발라야 한다.
-크림형 썬크림
장점: 사용감과 흡수력이 좋으며, 차단 지속력이 뛰어나다.
단점: 바를 때 건조할 수 있고, 백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가루형 썬크림 (파우더 타입)
장점: 번들거림을 잡아주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화장 후에도 사용하기 좋다.
단점: 발리는 느낌이 적어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백탁현상이 생길 수 있다.
-오일형 썬크림
장점: 피부에 수분감을 주며, 빛나는 피부 효과를 줄 수 있다.
단점: 끈적임이 있거나, 피부에 무거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스프레이형 썬크림
장점: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팔이나 다리 등 넓은 부위에 좋다.
단점: 정량을 발랐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호흡기로 흡입될 위험이 있어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썬크림 유형은 사용자의 피부 타입, 활동 범위, 그리고 개인적인 선호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사용 시에는 제품의 지시사항을 잘 따르고, 피부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썬크림은 바르는 것만큼 지우는 것도 중요하니, 세안에도 신경 써야한다.
썬크림 원리
-무기 자외선 차단제
천연 또는 미네랄 자외선 차단제라고도 불리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에는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타늄이라는 두 가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함께 피부 위에 앉아 태양 광선을 편향시키거나 반사한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농도가 두꺼워서 피부에 백탁 현상이 남을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바르면 피부의 최상층에 흡수되는 최대 12가지 성분을 사용한다. 그들은 피부와 반응하여 자외선을 흡수하고 피부에 해를 끼치기 전에 에너지로 변환된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만큼 두껍지 않기 때문에 얼굴 전용 자외선 차단제나 스프레이 병에 들어 있는 자외선 차단제에 자주 사용된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흡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외출 20~30분 전에 발라야 한다.
어떤 썬크림?
-SPF
SPF 수치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시간에 비해 제품을 지시대로 정확하게 사용할 때 태양의 UVB 방사선으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SPF 30을 사용하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을 때보다 화상을 입는 데 30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PA
PA는 (Protection Grade of UVA)를 의미하므로 PA+ 등급은 UVA 광선을 차단하는 제품의 능력을 측정한다.
PA등급은 제품에 더하기 기호가 많을수록 좋다. PA++++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16배 더 효과적으로 보호해 주며 UVA 광선만 측정한다.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할 때 UVA와 UVB 광선 모두로부터 보호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 중인 제품이 UVA 및 UVB 보호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경우 Broad Spectrum이라는 라벨이 표시된다. Broad Spectrum이라는 라벨이 붙은 자외선 차단제와 화장품만이 두 가지 유해한 형태의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나의 생각
썬크림에 원리에 대해 조사하다 보니 썬크림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알게 됐다.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이용한 것이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고 있었다니 놀라웠다. 이번 조사로 썬크림을 현명하게 소비하는 소비자가 되어야 함을 느꼈다.
2018년 Downs는 표백 및 수중 생태계에 대한 두 가지 자외선 차단제 성분인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의 잠재적 유해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그 후 하와이는 활성 성분인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가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최초의 주가 되었다.
출처
1. https://www.colorescience.com/blogs/learn/what-is-pa
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682817/
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682817/
4. https://www.skincancer.org/skin-cancer-prevention/sun-protection/sunscreen/
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291018/
'일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에너지 드링크의 종류, 성분, 마케팅 (0) | 2024.05.10 |
---|